흑칠한 표면에 복숭아와 학, 모란무늬 등을 자개로 장식한 목침이다.
형태는 반원에 양 끝이 운두형(雲頭形)인 두 개의 판재를 세 개의 원통형 기둥으로 연결한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팔을 거는 팔걸이와 유사한 모습이지만, 팔걸이보다 낮기 때문에 머리배게(頭枕)을 변형시킨 형태로 보인다.
문양은 전복, 조개껍데기를 얇게 갈아 물건의 표면에 붙여 장식하는 기법인 나전으로 장식하였다. 한 면에는 모란과 복숭아무늬를, 다른 면에는 복숭아와 학무늬를 도안화하여 시문하였다. 한쪽에는 화면 중앙에 꽃이 핀 모란을 배치하고, 그 양 옆으로 나무에 달린 복숭아 무늬를 그림처럼 시문하였다. 반대편에는 중앙에 복숭아가 맺힌 나무와 양 옆으로 물가에서 복숭아를 올려다보는 학의 모습을 시문하였다. 앞뒷면 모두 가장자리 부분에 자개를 길게 썰어 칼로 뚝뚝 끊으면서 붙이는 ‘끊음질’ 기법을 사용해 한 줄로 테두리를 둘렀다. 판재 안쪽에는 기둥 사이마다 끝이 뾰족한 모란무늬를 시문하였다. 모든 문양은 자개를 오려서 시문하는 기법인 주름질로 시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