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칠한 표면에 자개로 모란넝쿨무늬를 장식한 벼루함로, 내부에는 석제 벼루와 금속 연적이 들어 있다.
뚜껑이 몸체를 덮어씌우는 직육면체로, 내부에는 벼루와 연적을 고정시킬 수 있는 나무판이 있다. 벼루함의 내부와 바닥면, 나무판까지 모두 칠이 매끈하게 되어 있다. 벼루는 직육면체이며, 윗면에는 먹을 가는 연당과 먹물이 고이는 연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테두리에 금칠을 하였다. 사용된 석재는 청회색 빛을 띤다. 원형의 금속 연적은 중앙에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으며, 두 개의 구멍이 있어 물을 넣고 뺄 수 있다.
문양은 전복, 조개껍데기를 얇게 갈아 물건의 표면에 붙여 장식하는 기법인 나전으로 장식하였다. 뚜껑 가장자리에는 자개를 길게 썰어 칼로 뚝뚝 끊으면서 붙이는 끊음질 기법을 사용해 테두리를 둘렀다. 뚜껑의 윗면은 모란과 넝쿨무늬를 배치하였는데, 조선시대의 모란넝쿨무늬의 특징을 재현한 것으로 보인다. 모란넝쿨무늬는 도안대로 오려서 시문하는 기법인 '주름질'기법으로 시문하였다. 측면에도 자개를 이용하여 선과 점무늬를 반복적으로 시문하였다.
나전 칠 모란넝쿨무늬 벼루함 컬러값 #705f56
나전 칠 모란넝쿨무늬 벼루함 컬러값 #857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