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칠한 표면에 꽃과 나비무늬를 자개로 장식한 조선미술품제작소의 찬합으로, 밥과 반찬 등의 음식을 담아 이동하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찬통은 정사각 모양에 가까우며 서로 얹어서 포갤 수 있도록 바닥면에 다리를 붙여 턱지게 제작하였다. 다섯 단으로 층층이 포개어 뚜껑을 덮었으며, 여분의 뚜껑이 하나 더 있다. 받침은 네 측면에 능화형의 창을 뚫어 장식성을 더하는 동시에 잡기에 편리하도록 만들었다. 뚜껑과 찬통의 내면에는 주칠이 되어 있고 그 외의 면에는 흑칠을 했다. 문양은 대부분 자개를 모양대로 오려서 붙이는 주름질 기법으로 장식하였다. 찬통에는 동그랗게 말린 꽃 넝쿨과 나비를 나타냈는데, 분리되는 단끼리 문양이 이어지도록 만들었다. 한 면에 국화, 모란, 매화 넝쿨을 대각선으로 배치하고 그 주변을 날고 있는 나비를 네 마리씩 배치하였다. 뚜껑 윗면에는 간략화된 수(壽)자무늬를 모란 넝쿨이 감싸고 있으며 그 주변에 나비무늬를 장식하였다. 받침 역시 꽃 넝쿨과 나비로 장식되어 있으며, 윗면의 테두리는 자개를 끊어서 이어 붙이는 끊음질로 장식하였다. 모서리 한쪽에 금색으로 ‘미(美)’자가 전사되어 있어 조선미술품제작소에서 제작한 찬합임을 알 수 있다.
찬합은 나무, 자기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었다. 『임원경제지』의 기록이나 1868년(고종 5)에 베풀어진 『진찬의궤』 등에 ‘왜찬합(倭饌盒)’이라는 문구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현재 전하는 이러한 형태의 찬합은 이 무렵을 전후하여 일본에서 들어와 정착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일제강점기 시기에는 일본 취향의 나전칠기 찬합이 많이 제작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나전 칠 꽃 나비무늬 찬합 컬러값 #4d433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