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로 외형을 만들고, 그 위에 종이를 여러 겹 바르고 칠을 한 각게수리다. 각게수리는 안방과 사랑방에서 함께 쓰이던 가구로 귀금속이나 중요한 문서를 보관하는 데 사용하거나 소형 약장으로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여닫이문 안에 여러 개의 서랍을 설치하였다. 각게수리는 일본의 문방 가구인 가케스즈리(がけすずり)에서 온 명칭으로 정궤(頂櫃), 천안주(千眼廚), 각비슈리 등 여러 명칭으로 불리던 중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각게수리라는 명칭으로 고정되었다. 이 각게수리의 정면에는 앞바탕 장석*과 경첩이 있다. 앞바탕 장석에는 은혈자물쇠*와 둥근 고리가 있다. 고리는 배목에 걸고 배목은 꽃 모양의 배목 바탕에 끼워 판에 고정했다. 앞바탕 장석 옆에는 광두정과 고춧잎형 경첩 3개가 부착되어 있다. 전면(全面)에 광두정을 부착하여 종이의 탈락을 방지하고 장식을 겸하도록 하였다. 바닥에는 받침 발이 있어, 바닥 면이 쉽게 마모되는 것을 방지했다. 내부에는 서랍이 있다. 서랍은 1단에 크기가 서로 다른 서랍 2개, 2단에 1개, 3단에 1개, 4단에 1개로, 총 5개이다. 내부 서랍의 앞면 중앙에는 둥근 고리의 손잡이가 달려있다. 2단에는 장석이 부착되어 있고, 은혈자물쇠가 있다. 손잡이는 배목에 걸고 배목은 꽃 모양의 배목 바탕에 끼워 목재에 고정했다.
*앞바탕 장석: 대체로 목가구의 여닫이문에 붙는 바탕 금속판으로 앞바디라고도 한다. 주로 앞면 가운데에 붙기 때문에 장석의 얼굴이라고 할 수 있다.
*장석: 나무로 된 건축물이나 가구 등의 구조 및 기능을 보강하고 꾸미기 위해 몸체에 부착하는 금속 장식을 통틀어 만든다.
*은혈 자물쇠: 자물쇠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열쇠 구멍만 밖으로 나 있는 자물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