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칠한 표면에 자개를 붙여 십장생(十長生)무늬, 산수누각무늬를 장식한 함으로 귀중품을 보관했던 것으로 보인다.
함의 모서리 면마다 금속장식인 고춧잎형 감잡이장석을 장식적으로 대어 화려함이 돋보이며 뒷면에 두 개의 경첩을 연결해 여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앞면에는 방형 백동 낙목바탕과 세 귀퉁이를 고정시켜주는 백동 귀잡이 장석을 달았다.
문양은 전복, 조개껍데기를 얇게 갈아 물건의 표면에 붙여 장식하는 기법인 나전으로 장식하였다. 이 함의 윗면에는 끊음질 기법이 잘 나타난 산수누각 무늬가 장식되었다. 산을 배경으로 소나무와 누각, 배 등이 있는 산수누각무늬를 시문하였는데 잘게 끊어낸 자개를 연결하여 한 폭의 산수화를 연상시킨다. 앞면은 복숭아나무 아래 한 쌍의 학, 한 쌍의 거북이, 소나무 아래 한 쌍의 사슴, 영지버섯 등 십장생무늬로 장식하였다. 십장생무늬들 중 한 쌍의 동물들은 장수와 함께 부부 사이의 금슬을 기원하며 장식한 것으로 보인다. 동물들은 주로 자개를 모양대로 잘라서 붙이는 주름질과 자개 표면을 긁어내 세부 표현을 하는 모조법을 활용하였고, 소나무와 배경은 끊음질 기법을 활용해 묘사하였다. 양 옆면에는 매화와 물고기를 시문하여 장식하였고, 활형 손잡이(들쇠)를 부착했다. 이 함에서 주로 보이는 화면을 가득 메우는 끊음질 기법은 조선시대 말기 나전 공예의 흐름을 잘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