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마리의 학이 표현된 모담으로, 18~19세기의 모담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무늬이다. 모담(毛毯)은 털실을 섞어서 짠 한국의 전통 깔개를 말하며, 조선철(朝鮮綴)이라고도 불리었다. 타피스트리직(tapestry weave)으로 직물을 짜고, 직물 위에 직접 그림을 그려 무늬를 표현하는 방법인 회염(繪染)으로 제작하였다. 중앙에 날개를 활짝 편 학을 중심으로 네 마리의 학이 쌍을 이루며 마주 보고 있다. 학 주위에는 식물과 보배 무늬를 안료로 그려서 표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