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분이 함유된 청자 태토 위에 무늬를 새기고, 새긴 자리에 다른 색의 흙을 넣어 만드는 상감 기법을 사용하여 꽃무늬를 장식한 청자 잔이다. 정선된 태토로 성형하고 굽 접지면을 제외한 전체에 유약을 고르게 입혀 표면이 광택 있고 매끄럽다. 잔 외면에는 국화꽃 한 송이를 배치했다. 국화의 꽃잎은 백화장토로 인화상감했고, 중앙의 꽃술은 적화장토로 그렸으며, 이파리는 흑화장토로 상감하여 장식했다. 국화는 가을에 피는 대표적인 꽃으로 동양에서는 장수를 상징한다. 국화무늬는 고려시대에 성행하여 각종 공예품에 장식되었다. 특히 청자의 문양 소재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황종구의 도안에도 한적한 가을의 들국화가 묘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