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종구가 1980년대 중반에 제작한 청자 완이다. 입지름이 16cm 안팎으로 좁은 굽을 두고 기벽이 사선으로 바라진 발은 말차를 마시거나 음식을 담기 위한 전형적인 다완 형태이다. 그릇 내부에 다섯 겹의 꽃잎을 압출 양각으로 눌러 찍은 연화문과 무궁화로 보이는 꽃문양을 중첩하여 장식했다. 기벽 외부는 장식 없이 유약 빛으로 매끈하게 구현했다. 황종구는 제작에 앞서 늘 스케치를 꼼꼼히 하여 설계하는 습관을 지녔으며, 이 작품 역시 중복 생산을 위해 설계도에 따라 석고틀로 찍어낸 뒤 문양 세부는 직접 조각하여 완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