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종구가 1984년에 이화여자대학교 도예과 교수직을 퇴임한 이후, 1992년의 마지막 개인전을 준비하며 제작한 작품으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청자토를 태토로 물레 성형한 후에 상감기법으로 장식하고 재유를 시유하여 환원 번조했다. 세로로 긴 비례를 가진 청자병의 형태는 가로축의 직선과 세로축의 완만한 곡선이 만나 새로운 형태의 병으로 성형되었다. 기물의 표면에는 황종구의 후기 작품에 나타나는 독특한 도안을 표현했다. 사람의 얼굴과 신체의 형상을 극도로 단순화한 형태는 기물의 앞뒷면에 약간의 변화를 주어 장식성을 더했다. 이 작품은 황종구의 후기 작업에서 형태와 무늬 모두 독창적인 시도를 한 작품으로 그 의의가 높게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