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을 위한 그릇>(2003)은 반상기 중 대접이다. 반상기 구성 중 밥과 국그릇은 반상기 그릇의 중심이다. 이세용은 청화를 주 수법으로 공예 장식과 회화를 구분하지 않는 자유로운 조형성을 추구했다. 이세용은 백색도 좋은 백토를 물레 성형한 둥근 형태의 대접 위에 산화코발트로 기하학적인 도상을 그렸다. 다양한 선의 굵기와 농담 대비 그린 면 분할이 마치 모노크롬 추상화를 보는 것 같다. 그러나 찬찬히 들여다보면, 선인장, 건물, 굴뚝에서 나는 연기 등이 한데 어울려 산업화된 도시의 일상을 간략한 필치로 묘사했음을 가늠할 수 있다. 산화코발트의 농담, 직선과 곡선을 대비 강하게 변주하여 화면에 역동성과 은율미를 획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