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제작한 <숙우>는 다구(茶具)의 구성품 중 하나이다. 조선시대 왕실에서 백자 제기 제작 기법이었던 ‘면치기’를 응용했다. 백토로 물레성형 한 후 표면을 팔각으로 나누어 도칼로 깎았다. 바닥굽 역시 외측 팔각 면 분할에 따라 비율을 맞춰 깎아 완성도를 높였다. 주구는 물레 성형한 후 사선으로 잘라 기물 본체 구멍을 뚫은 자리에 부착했다. 주구 형태를 사선으로 예리하게 잘라 숙우를 기울여 다관, 찻잔에 물을 따를 시, 절수력을 높였다. 몸체 크기에 비해 주구 길이가 1cm 정도로 짧은 편이다. 손잡이 없이 사용자가 몸체를 감싸 쥐어 사용하는 디자인이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주구 길이를 짧게 하고 상부에 주구 위치를 잡아 편의성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