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1989)는 백아연결정유의 미색과 잿빛 그리고 산화코발트가 함유된 꽃모양 결정유가 어울리는 작품이다. 요업기술원 재직하며 실험으로 획득한 유약 기술과 데이터를 1980년대부터 자신의 공방에서 상용화하기 시작한 시기 제작했다. 본인이 개발한 아연결정유 데이터 중에서 산화코발트를 더해 푸른빛 결정 효과를 얻었다. 이세용은 판성형으로 면을 이어 붙이고 손으로 다듬어 제작했다. 벽돌 혹은 반듯한 사각 돌을 연상시킨다. 넓은 면에 백아연결정유를 바탕으로 산화티타늄(TiO₂), 금홍석(Rutile), 아연화를 더해 발생시킨 다채로운 유약 효과가 돋보인다. 번조 과정 중, 기형 특징에 의해 측면은 중력에 의해 유약이 흘러 내리나 상부는 납작하고 평평하여 유약이 고여 유면이 두껍게 형성된다. 기형에 따른 다른 유면 두께 형성으로 결정유 크기와 효과가 다른 시각적 재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