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해서유 접시>(1999)는 이세용이 직접 개발한 청해서유를 시유해 제작한 기물이다. 이세용은 생전 점토와 유약개발, 번조 뿐 아니라 성형 기술, 인체공학적인 도자 기형의 연구에 남다른 노력을 기울였던 연구자이자 작가였다. 해서유는 이중 시유 유약이다. 두 가지 혹은 3~4가지 유약을 3-4회 반복하여 붓으로 겹쳐 발라 깊은 색과 다채로운 결정 효과를 도출한다. 종류 다른 유약을 섞는 것이 아니라 각각 겹쳐 발라야 온전한 청색이 나온다. 청색이 강렬하지만, 그 안에는 미세한 은빛 결정이 가득 피었다. 이세용은 여기서 나아가 해서유와 다른 유약을 사용해 붓으로 여인의 나체를 그렸다. 1990년대 서구 현대미술의 명화 표현을 두루 차용해 자신만의 회화 수법을 도모하고자 했던 시도의 일환이다. 이세용은 여인을 침대에 누여놓고 그리는 누드화의 전통을 차용했다. 이세용이 여체를 그릴 때 유독 가슴과 골반을 풍만하게 그리는 것은 여성의 신체를 관능적으로 본 것이 아니라 생명의 원형으로 보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