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1989)는 이세용이 직접 개발한 아연 결정유에 여러 산화물을 첨가하여 다채로운 결정 형성을 시도한 작품이다. 이세용은 1980년대 요업기술원에서 획득한 실험 데이터와 경험을 바탕으로 1989년 이후 균열유, 아연 결정유, 천목유 등 비교적 색채와 요변 효과가 다채로운 고화도 유약을 직접 개발하여 실용 도자기에 적용했다. 이 중 결정유는 환원염으로 굽되 최고 온도에 도달한 후 온도를 낮춰 일정 시간 유지해야 결정이 잘 형성된다. <무제> 역시 특정 온도에서 온도를 지속해 유지하는 과정을 거쳐 제작했다. 그 결과 황토빛 바탕에 맑고 푸른 결정이 다수 피었다. 유면이 두텁게 형성된 곳일수록 푸른색 결정의 분포가 넓고 색도 선명하다. 대접 내부 표면에 몇 개의 흙 조각을 떨궈 시각적 재미를 유발했다. 후면에는 녹색 결정유를 시유하여 변화를 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