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제>는 이세용이 결정유, 균열유 등 다양한 고화도 유약 효과를 실험하던 1979년경 제작한 작품이다. 형태는 물레로 성형하였고 목 부분을 직각으로 세우는 대신 손가락으로 눌러 목 부분의 높이가 낮고 두텁게 처리했다. 용도는 화병 등 장식 용기로 두루 가능하다. 이세용은 1979년에서 1980년대에 균열유 등 강한 유약 효과에 집중하였는데 이 작품 역시 유사한 시기 본인이 개발한 유약을 시유해 유약 효과에 집중한 작품이다. 전면에 시유한 유약 말림(응결, Gaze Crawling) 효과가 두드러진다. 유약 말림은 기물과 유약의 수축률 차이, 유약의 성분, 시유방법 등으로 일어난다. 적정 온도의 불에서 유약 말림이 자연스럽게 형성되어야 수작이다. 이세용은 그 위에 산화철로 대범하게 게 문양을 그렸다. 우측 상단에 산화코발트 안료로 작은 풀을 그렸다. 붉은 미색이 도는 바탕에 산화철 안료의 붉은 기운이 가을철 물오른 게의 모습과 잘 어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