밑창에 징을 촘촘하게 박아 만든 징신이다. 비 오는 날 혹은 진 땅에서 신고, 마른신에 반대되는 뜻으로 '진신'이라 불렀으며 물이 스며들지 않고 오래 견딜 수 있도록 밑창의 가죽을 들기름에 절여 만들어 유혜(油鞋)라고도 하였다. 신이 수축하거나 비틀리는 것을 막기 위해 지승(紙繩)으로 만든 신골을 넣어두었다. 신골은 긴 타원형의 고리 형태로 구부리고, 뒷부분은 원통형 지승 망이 씌워져 있다. 신 입구 둘레 부분[도리]은 질긴 가죽을 사용해 여러번 착용해도 헤지지 않도록 튼튼하게 하였다. 신코와 뒤축에 닳아 손상된 부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