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닫이와 책장 형태가 혼합된 책반닫이로 조선시대에 잣나무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전면형식은 개판형으로, 천판(윗널)이 측널의 양 옆으로 튀어나온 형태를 말한다. 천판의 양 끝에는 두루마리 개판이 붙어있어 장식성을 더하고 있는데, 흔히 경상(經床)에서 찾아볼 수 있는 형태여서 독특하다. 튀어나온 천판과 어우러지도록 다리가 길게 뻗어있는데, 일반적으로 짧게 만들어지는 다른 반닫이와 차이를 보인다. 다리의 형식은 좌우 측널이 연장되어 다리 역할도 겸하고 있는 일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순히 길게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마름꽃 모양으로 풍혈(風穴: 가구의 통풍을 위하여 뚫어놓거나 비어놓은 구멍)을 내어 밋밋하지 않게 했다.
내부는 선반형의 구조로, 천판 아래에 선반을 한 칸 만들었다. 천판과 측널, 측널과 밑널은 장부짜임 방식으로 결속되어 있다. 장석은 필요한 부분에 달려 구조를 보완하면서도 전체적인 모양새와도 잘 어우러지게 만들어졌다. 몸통이 맞닿은 부위에는 판형 감잡이를 사용하여 각 연결부위를 보강하고 있다. 앞바탕과 뻗침대는 천판과 문판에 걸쳐진 형태로 제작되었고, 앞바탕은 제비초리 모양이다. 들쇠는 앞바탕의 옆에 작은 고리형으로 만들어졌다. 문판 양 끝에는 돌출된 형식의 광두정이 3개씩 있고, 문판과 앞널을 연결하는 2개의 경첩은 제비초리 모양이다. 전반적인 양식으로 보아 경상도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종횡으로 길게 뻗어진 천판과 다리가 잘 어우러지면서 안정감 있는 모양새를 만들어냈고, 섬세한 부분까지 정성을 들인 만듦새가 아름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