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가구와 실내장식 이미지

중국의 가구와 실내장식

미셸 뵈르들리 지음;김삼대자 옮김

자료유형
도서
발행처
도암기획
발행년도
1996
배가위치
미술
청구기호
638 24-2
ISBN
9788986957013 ;8986957019
언어
한국어
주제어
중국가구 ;중국 실내장식 ;중국 생활미술
이용상황
소장중

목차

서문
Ⅰ. 명(明) 이전의 중국가구(中國家具)
1. 고대(古代)
2. 한(漢: 기원전206∼서기220)
3. 육조(六朝: 220∼581)에서 당(唐: 618∼907)까지
4. 오대(五代: 907∼979)와 송(宋: 960∼1279)
5. 원(元: 1271∼1368)
Ⅱ. 중국(中國)의 생활미술(生活美術)
1. 학자(學者)의 은둔(隱遁)생활
(1) 근재(根材)로 만든 가구(家具)
(2) 죽재(竹材)로 만든 가구(家具)
2. 장식미술가 리위(李漁, 이어)
3. 18세기 중엽 꽝뚱(廣東, 광둥)가옥의 실내장식·윌리엄 쳄버스의 중국주택
Ⅲ. 명(明: 1368∼1644)에서 20세기까지의 중국가구
1. 경질재(硬質材)가구
(1) 목재
(2) 의자
(3) 탑(榻)과 침상
(4) 탁자
(5) 장
2. 칠(漆)가구
(1) 베이징(北京, 북경)칠기라 부르는 척홍칠기
(2) 조전(雕顚)과 전채(塡彩)
(3) 상감 및 조각칠기
(4) 화칠(畵漆)
(5) 각회(刻灰: 코로멘들)칠기
3. 유선(有線)칠보가구
4. 꽝뚱(廣東, 광동) 칠보가구
5. 백자(白磁)와 돈(暾)과 가구
(1) 돈(墩)
(2) 화분대
(3) 어항(漁缸)
(4) 조롱(鳥籠)
6. 따오꽝(道光, 도광)가구의 재조명
7. 금속제 경첩, 자물통과 들쇠
부록
(1) 중국 연표
(2) 영국과 미국 생활미술에서의 중국가구 및 그 영향
(3) 독일에서의 중국적 취향
(4) 프랑스에서의 중국 및 중국풍
(5) 소더비(파리, 런던, 뉴욕)가구 공개 입찰시 낙찰가격
(6) 왕조마크
참고문헌
감사의 글
도판목록
색인

글자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