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Summary
주요저술 목록
제1부 우리나라의 목칠공예
삼국 및 통일신라기의 목칠기
통일신라기의 평탈
고려시대의 나전칠기
조선칠의 한 특징에 관하여
목공예
제2부 전통공예 소고
전승공예의 민서적 성격
석공예와 석재
화문석
전통 자수
피죽채상
유기
종이
갓
솜씨
제3부 조선 장인의 작업세계
전승공예 기술과 장인
장인의 고장, 통영의 木物 -소목장 천상원
명성의 그늘에서 천직을 지켜온 풍물장 -악기장 김광주
신분의 애환이 담긴 꽃신 -꽃신장 황영수
탁월한 대륙계 角弓의 -궁장 김장환, 시장 박상준
비법을 잃고 장신구화된 粧刀 -장도장 박용기
담뱃대에 조상의 입김을 형상화 -백통연죽장 추옥판
조선조 공예품 만들던 ‘쪼이’명인 -금은조각장 김정섭
‘손끝 재주’ 키워 ‘천 년 예술’ 생생히 -나전칠기장 김봉용
‘불질’ 터득에 사십오 년 걸린 셈 -기와장 한형준
“내가 만든 북은 소리로 알죠” -고장 박균석
베틀노래 벗삼아 길쌈 육십 년 -곡성 돌실낳이 김점순
제4부 조상의 얼굴
白磁俑, 소박한 표현 속에 담긴 한국인의 심성
돌장승의 풍부한 표정
하회탈, 영남 미인의 두 얼굴
토속미가 구수한 石人들
우두커니 선 조선의 무인
신라인의 청신한 미소
土偶 속의 희로애락
가장 비천해진 승려의 변신들
풍요함을 비는 원시인들
희귀하나 청순한 동자상
더 인간다운 羅漢
북쪽에서 유랑해 온 광대의 형상
주
수록문헌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