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가례 :유교 공동체를 향한 주희의 설계 이미지

주자가례 :유교 공동체를 향한 주희의 설계

朱熹 지음,임민혁 옮김

자료유형
도서
발행처
예문서원
발행년도
1999
배가위치
보존서고
청구기호
100 20-9
ISBN
9788976460912 ;897646091X
언어
한국어
주제어
기타분야 도서 ;주자가례 ;유교 ;공동체 ;주희 ;설계
이용상황
소장중

목차

옮긴이의 말
해제
가례서
사고전서 제요
권1 通禮
1. 사당祠堂(사당이란 무엇인가?)
2. 심의제도深衣制度(심의 제작 방법)
3. 사마씨거가잡의司馬氏居家雜儀(사마광이 지은 집안에서의 각종 예절)
권2 冠禮
1. 관冠(남자의 성인식)
2. 계례?禮(여자의 성인식)
권3 昏禮
1. 의혼議昏(혼사를 의논하다)
2. 납채納采(채택하는 예를 받아들이다)
3. 납폐納幣(폐백을 받아들이다)
4. 친영親迎(신랑이 친히 신부를 맞이하여 오다)
5. 부현구고婦見舅姑(며느리가 시부모를 뵙다)
6. 묘현廟見(신부가 사당을 알현하다)
7. 서현부지부모壻見婦之父母(신랑이 신부의 부모를 뵙다)
권4 喪禮
1. 초종初終(돌아가시다)
2. 목욕沐浴(시신을 목욕시키다), 습襲(시신을 염습하다),전奠(전제를 드리다), 위위爲位(자리를 만들다), 반함飯含(시신의 입 안에 음식을 물리다)
3. 영좌靈座(영좌를 설치하다), 혼백魂魄(혼백을 만들어 놓다), 명정銘旌(명정을 만들어 세워 놓다)
4. 소렴小斂(소렴하다)
5. 대렴大斂(대렴하다)
6. 성복成服(상복을 정장하다)
7. 조석곡전朝夕哭奠(아침 저녁으로 곡하며 전제를 드리다), 상식上食(음식을 올리다)
8. 조전부弔奠賻(조상하고 전제하며 부의하다)
9. 문상聞喪(멀리서 상을 듣고 의례를 행하다), 분상奔喪(상을 듣고 장사 지내러 가다)
10. 치장治葬(장사 지낼 터를 조성하다)
11. 천구遷柩(영구를 옮기다), 조조朝祖(조상을 뵙다), 전부奠賻(술을 올리고 부의하다), 진기陳器(제기를 진설하다), 조전祖奠(조례에 술을 올리다)
12. 견전遣奠(상여를 떠나 보내는 제사를 드리다)
13. 발인發引(발인하다)
14. 급묘及墓(묘소에 도착하다), 하관下棺(관을 내리다), 사후토祀后土(후토신에게 제사지내다), 제목주題木主(나무신주에 글을 쓰다), 성분成墳(봉분을 만들다)
15. 반곡反哭(집으로 돌아와 곡을 하다)
16. 우제虞祭(우제를 지내다)
17. 졸곡卒哭(아침 저녁 이외의 곡을 그치다)
18. 부?(합사하다)
19. 소상小祥(소상을 지내다)
20. 대상大祥(대상을 지내다)
21. 담?(담제를 지내다)
22. 거상잡의居喪雜儀(상중의 각종 예절)
권5 祭禮
1. 사시제四時祭(사계절에 제사지내다)
2. 초조初祖(시조에게 제사지내다)
3. 선조先祖(선조에게 제사지내다)
4. 녜?(아버지에게 제사지내다)
5. 기일忌日(기일에 제사지내다)
6. 묘제墓祭(묘소에서 제사지내다)
그림 목록
참고문헌

글자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