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그림의 수장과 감정  이미지

옛 그림의 수장과 감정

이원복 저

자료유형
도서
발행처
한국고미술협회
발행년도
2008
배가위치
보존서고
청구기호
400 22-5-7
언어
한국어
주제어
자연과학 ;문화재 보존 ;감정
이용상황
소장중

목차

머리말
- 미술사가(美術史家)와 감정(鑑定), 실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 안목(眼木)과 과학적 접근,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 전칭(傳稱)의 의미, 끝없는 지속된 임모(臨募)
1. 옛 그림의 이해
- 전통회화 이해의 현주소, 동양화와 한국와
- 서화의 위상(位相), 전통 미술의 첫 번째
- 자연관(自然觀)과 화목(畵目), 조화의 자연관과 그림의 제 분야
- 격조(格調)와 기량(技倆), 문인화(文人畵)와 공필(工筆)
2. 한국회화의 시대구분(時代區分)과 흐름
- 시대구분(時代區分)과 시대화풍(時代畵風), 조선시대 우리 그림의 역사
- 우리 그림의 특징(特徵), 맑고 밝은 민족 미감(美感)의 구현
3. 문헌에 나타난 우리 옛 그림
- 성현(成俔)의 『용재총화(慵齋叢話)』, 15세기 조선화단의 실루엣
- 김안로(金安老)의 『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조선 초 회화에 대한 인식
- 허목(許穆)의 『미수기언(眉叟記言)』, 조선 중기 화단의 일 면모
- 이긍익(李肯翊)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솔거부터 조선왕조 17세까지 화가 80여 명
-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내 '열상화보(冽上畵譜)', 국외 유출된 16명 우리 화가 우리 화가 그림 46점
- 조희룡(趙熙龍)의 『호산외사(壺山外史)』, 중인 출신 화가 7인
- 『조선고적도보(朝鮮古蹟圖譜)』 14책 조선시대 회화편- 자료집으로 도록(圖錄)
4. 우리 옛 그림의 소장처(所藏處)와 특별전
- 국립중앙박물관 서화 - 1908년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 이후 수장(收裝)
- 간송미술관(澗松美術館), 민족 문화유산의 보고(寶庫)
- 동원(東垣) 이홍근(李洪根) 기증 회화, 2천 점이 넘는 그림들
- 두암(斗庵) 김용두(金龍斗) 기증 회화, 재일동포의 조국애(祖國愛)
- 야마토분가간(大和文華館), 우리 그림의 체계적 전시
- 『유현재선 한국고서화도록』, 733건의 방대한 우리 문화재 도록
- 도쿄국립박물관 오구라(小倉)컬렉션, 69점으로 살필 수 있는 그림의 변천
5. 조선 회화의 감정(鑑定)
- 강희안(姜希顔)의 대표작과 기준작, <고사관수도(高士觀水圖)>와 <교두연수도(橋頭烟樹圖)〉 외
- 이상좌의 <송하보월도(松下步月圖)>와 <어가한면도(漁暇閑眠圖) >, 전칭작과 낮잠 아닌 잡은 물고기 헤아리기[泊舟數魚圖]
- 신사임당(申師任堂)의 <초충도(草蟲圖)>, 다양한 화풍
- 양팽손(梁彭孫)의 <산수>, 문인 아닌 작업화가의 그림
- 김두량(金斗樑)의 <목우도(牧牛圖)> - 화가는 아들 김덕하
- 심사정(沈師正)의 전칭의 <맹호도(猛虎圖)>, 간기의 문제점
- 고운(高雲) 전칭의 <송호도(松虎圖)>, 조선 초기 아닌 후기 양식
- 김홍도의 영모도들 - <송호도(松虎圖)>, <화간쟁명(花間爭鳴)>과 <유서쟁명(柳捿爭鳴
)> 외
- 우당(愚堂)의 <죽림맹호도(竹林猛公圖)>, 그린 화가는 백은배(白殷培)
- 황기천(黃基天)의 <화조도>, 이방운(李昉運)의 <연지수금(蓮池水禽)>
- 김수문(金壽門) 전칭의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 금농(金農) 아닌 이한철(李漢喆) 그림
참고문헌

글자
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