펴내는 글
1960년대_물레성형의 한계 실험
• 작품
• 도자관련행사
• 활동내용
1970년대_유약의 여러 장식법/자연 형상의 조형화/우리 전통의 재현
• 글 모음
섬세한 음각, 선의 화사함, 조정현의 도자기
1980년대_상감기법의 활용/도판기의 사용
한국, 독일 현대도자 세미나 한국 문화 속의 환경도예 오늘의 한국 공예와 공예 전문지의 역할 공예 활동의 공공성 응접실의 귀빈: 도예 동서현대도예전과 워크샵의 의미 이 전문인의 삶, 도예가 조정현
1990년대_삼국시대 토기의 현대적 조형화/일본 비젠의 흙과 가마/옹기의 새로운 해석
한국 현대도예의 위상정립과 발전과제 옹기의 멋과 맛 나의 도예의 길 조정현 상감 질그릇전, 92 조정현 상감 질그릇전 질그릇의 매력, 상감 질그릇전 꽃담에 나타난 조형성 「현대도예」를 발간하며 물러나는 여울 앞에 서서 도예가 조정현 씨, 이 사람이 사는 방법 한국 현대도예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내일 한국의 꽃담 조정현 상감 질그릇전, 96 상감옹기(象嵌甕器): 적송(赤松)의 조화(造化) 끈질긴 생명력과 천연스러운 멋 옹기 옹기의 멋 인증교육과정은 현장실무에 이론바탕 제공하죠
2000년대_옹기굴뚝의 조형 탐구
아트 하우스 전시에 부쳐 한국현대도예 미국순회전 ‘불꽃의 혼’ 흙으로 스미는 빛: 조정현 기증 특별전 재불여근(才不如勤), 불성무물(不誠無物), 능변여상(能變如常) 세계 최대 도자기 박물관, 한국 전시 이끈 조정현 교수 빅토리아&앨버트 박물관 세계명품도자전 한국 도자의 얼, 열정의 나라로 가다
2010년대_도자 소품 즐기기
• 조정현의 도자 제작도구
한국 현대도예 유럽 순회전시 ‘전통과 변환’ <전통과 변환: 한국 현대도예> 전의 주역 조정현 작가 인터뷰 도예가 조정현 「손길, 흙을 따라」 사제간의 40년의 대화
• 조정현의 작품 소장처